네트워크에 대해 학습합니다.
어떻게 먼 거리의 컴퓨터간에 소통이 가능할까?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소통 과정은 어떻게 이뤄질까?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네트워크를 학습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를 구축하는 방식과 배포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aside> 💡 목차
</aside>
서술과 함께 각 계층의 프로토콜 예시를 그림과 함께 서술 * 그리시오 + 캡슐화 , 역캡슐화 과정입니다!)
OSI 7 계층을 나눈 이유? ⇒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와 독립적으로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
프로토콜 : 메세지를 주고 받는 양식or규칙을 의미하는 통신 규약
Application Layer (7) ⇒ 통신의 최종 목적지로, 응용 프로그램들이 통신으로 활용하는 계층임. ⇒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계층이며 웹 브라우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함.
Presentation Layer (6) ⇒ 데이터의 암호화, 복호화와 같이 응용 계층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하는 계층 ⇒ 응용 프로그램 ⇔ 네트워크 간 정해진 형식대로 데이터를 변환, 즉 표현
Session Layer (5) ⇒ 데이터 교환의 경계와 동기화를 제공하는 계층 ⇒ 세션 계층의 프로토콜은 연결이 손실되는 경우 연결 복구를 시도한다. 오랜 시간 연결이 되지 않으면 세션 계층의 프로토콜이 연결을 닫고 다시 연결을 재개함. ⇒ 데이터를 상대방이 보내고 있을 때 동시에 보낼지에 대한 전이중(동시에 보냄, 전화기), 반이중(동시에 보내지 않음, 무전기) 통신을 결정할 수 있음
Transport Layer (4) ⇒ 상위 계층의 메시지를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계층 ⇒ 메시지의 오류를 제어하며, 메시지가 클 경우 이를 나눠서(Segmentation)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받은 패킷을 재조립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함.
Network Layer (3) ⇒ 패킷을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라우팅하는 계층 ⇒ 전송 계층에게 전달 받은 목적지 주소를 이용해서 패킷을 만들고 그 목적지의 전송 계층으로 패킷을 전달함.
Data Link Layer (2) ⇒ 데이터를 frame 단위로 한 네트워크 요소에서 이웃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하는 계층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 ⇒ 인터넷의 경우 Ethernet 프로토콜이 대표적이다. Ethernet은 MAC 주소를 이용해 Node-to-Node, Point-to-Point로 프레임을 전송함. ⇒ 이 계층의 대표적 장비 : 스위치, 브릿지
Physical Layer (1) ⇒ 장치 간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계층이며, 데이터 프레임 내부의 각 bit를 한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실제로 이동시키는 계층 ⇒ 이 계층의 대표적 장비 : 허브, 리피터
OSI 7계층 서술과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