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10월 7일 19시까지
실습과제 1
로컬 환경의 도커를 통해 MySQL 컨테이너를 실행시키고, Spring 프로젝트와 연동하시오.
- 24일 실습에서는 도커를 통해 서버환경에 제가 임시로 배포하여 사용이 가능했으나, 도커 설치 후 간단한 도커 명령어를 배운다면 로컬 환경에서 직접 DB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이전 실습과 동일한 환경에서 스프링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확인해주세요.
- jpa와 mysql 관련 의존성이 들어가있는지 확인(build.gradle내 dependency)
- 마지막 started라는 로그가 떠있고, 비정상 종료가 없다면 성공
- 서버 설정 파트 yml은 각자의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따라 변경하셔도 됩니다!
- 사용한 명령어를 함께 정리해주세요.
- 브라우저에
localhost:8080/person
입력 시 발생하는 흐름
실습 과제 2 (심화, 선택사항)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값을 조회하는 API를 만드시오.
- 연동이 되어있다면 yml내 ddl auto = update설정으로 인해 엔티티 클래스(Member)에 따라 실행과정에서 DB내 자동으로 테이블이 만들어집니다!
-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파라미터))를 통해 DB내 엔티티 객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save는 정의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이 가능할 겁니다. 만약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이유도 함께 고민해주세요.
- 이후 findById또는 findByName을 통해 값을 가져와 응답을 출력하는 GET RESTAPI를 만들어주세요.
- 이 과정이 성공했다면 Member 엔티티(테이블)가 아닌 다른 엔티티(테이블)를 정의하여 만들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