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24일 실습에서는 도커를 통해 서버환경에 제가 임시로 배포하여 사용이 가능했으나, 도커 설치 후 간단한 도커 명령어를 배운다면 로컬 환경에서 직접 DB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전 실습과 동일한 환경에서 스프링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확인해주세요.
서버 설정 파트 yml은 각자의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따라 변경하셔도 됩니다!
사용한 명령어를 함께 정리해주세요. </aside>
$ docker pull mysql
//MYSQL 공식 이미지 다운로드
$ docker run --name MYSQLContainer -e MYSQL_ROOT_PASSWORD=password -d -p 3306:3306 mysql:latest
//--name MYSQLContainer: MYSQLContainer를 실행
//-e: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환경 변수 설정
//MYSQL_ROOT_PASSWORD=password: 비밀번호를 password로 설정, root에서 실행
//-d: detach 모드로 컨테이너 실행→백그라운드 실행
//-p: 호스트 포트와 컨테이너 포트 연결
//mysql:latest: 컨테이너에 사용할 이미지
application.yml
파일에서 이에 맞게 설정!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127.0.0.1:3306/StudentsDB
username: root
password: password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jpa:
hibernate:
ddl-auto: upd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dialect: org.hibernate.dialect.MySQL8Dialect
→모르는 DB라고 한다…
→schema가 없기 때문!
→ 잘 되어있다!
→ 그리고 나서 실행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