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10월 7일 19시까지
실습과제 1
로컬 환경의 도커를 통해 MySQL 컨테이너를 실행시키고, Spring 프로젝트와 연동하시오.
-
24일 실습에서는 도커를 통해 서버환경에 제가 임시로 배포하여 사용이 가능했으나, 도커 설치 후 간단한 도커 명령어를 배운다면 로컬 환경에서 직접 DB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이전 실습과 동일한 환경에서 스프링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확인해주세요.
- jpa와 mysql 관련 의존성이 들어가있는지 확인(build.gradle내 dependency)
- 마지막 started라는 로그가 떠있고, 비정상 종료가 없다면 성공
-
서버 설정 파트 yml은 각자의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따라 변경하셔도 됩니다!
-
사용한 명령어를 함께 정리해주세요.

워크벤치에서도 잘 나온다!!! ^모^v

자꾸 안돼서 반 포기 상태였다가 자고 일어나서 다시 보니 이전 프로젝트에서 복사해왔을 때의 키인 1L로 아직 해놨어서 이재민을 못 찾고 있어서 에러가 났었음.

사용한 명령어
- docker pull mysql
- docker images
- docker run --name mysql-container -e MYSQL_ROOT_PASSWORD=1234 -d -p 3305:3306 mysql:latest
- --name <container_name> : <container_name> 이름의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 -e :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환경변수를 설정
- -e MYSQL_ROOT_PASSWORD=<password> : MySQL의 root 권한의 비밀번호를 <password>로 설정한다.
- -d : detach 모드로 컨테이너가 실행된다. 컨테이너가 백그라운드로 실행된다고 보면 된다.
- -p <호스트 포트> <컨테이너 포트> :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를 연결한다
- mysql:latest : 컨테이너에 사용할 이미지
- 컴터에 mysql이 깔려있으면 호스트 포트를 3305로 해야 충돌 안 생김
- docker ps -a
- mysql -u <user> -p → 그냥 root로 쓸 때는 mysql -p 만 치면 됨
실습 과제 2 (심화, 선택사항)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값을 조회하는 API를 만드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