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10월 7일 19시까지
실습과제 1
로컬 환경의 도커를 통해 MySQL 컨테이너를 실행시키고, Spring 프로젝트와 연동하시오.
-
24일 실습에서는 도커를 통해 서버환경에 제가 임시로 배포하여 사용이 가능했으나, 도커 설치 후 간단한 도커 명령어를 배운다면 로컬 환경에서 직접 DB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이전 실습과 동일한 환경에서 스프링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도록 확인해주세요.
- jpa와 mysql 관련 의존성이 들어가있는지 확인(build.gradle내 dependency)
- 마지막 started라는 로그가 떠있고, 비정상 종료가 없다면 성공
-
서버 설정 파트 yml은 각자의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따라 변경하셔도 됩니다!
-
사용한 명령어를 함께 정리해주세요.
docker pull mysql:latest
- docker pull : Docker Hub로부터 이미지를 로컬로 다운로드 받습니다.
- mysql : 다운로드할 이미지의 이름을 지정한다.
- lastest : 최신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겠다는 의미
docker run --name mysql -e MYSQL_ROOT_PASSWORD=MYSQL1 -e MYSQL_DATABASE=mydb -e MYSQL_USER=myuser -e MYSQL_PASSWORD=USER1 -p 3306:3306 -d mysql:latest
- docker run : 도커에서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한다.
-
-
- name : 새로운 컨테이너에 지정할 이름 설정
-
- e : 환경 변수 설정
- MYSQL_ROOT_PASSWORD :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 설정
- MYSQL_DATABASE : 컨테이너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생성할 DB 이름 설정
- MYSQL_USER : 새로 생성할 사용자 이름 설정
- MYSQL_PASSWORD : MYSQL_USER의 비밀번호 설정
-
- p : 포트 매핑 설정
- 3306 : 3306 > 왼쪽 포트는 호스트의 포트 번호 / 오른쪽 포트는 컨테이너 내부의 포트 번호
-
- d : Docker hub에서 가져올 이미지의 이름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