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레임워크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합니다.
스프링 MVC의 요청 처리 흐름, 의존성 관리, 객체 생성과 관리 방식을 학습하고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설계하고자합니다.
또한, 레이어드 아키텍처에 따라 역할을 분명히 구분하여 책임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이와 함께, 구성 파일과 ORM과 JPA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본적인 스프링 구조의 학습 난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side>
💡 목차
</aside>
I. 스프링 MVC
Json이란?
-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
- 사용 예시
-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입력을 JSON 형식으로 서버에 전송한다.
- 서버가 데이터를 처리하고 응답을 다시 JSON 형식으로 전송한다.
- 특징
- 언어와 독립적으로 사용되므로, 다양한 플랫폼과 언어에서 데이터 교환 시 좋다.
-
JSON / HTML / XML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의 구조 및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됨
-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보다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허용하는 JSON과 유사한 범용 마크업
-
사용 방식
{
"name" : "규남",
"age" : 26
"phoneNumbers" : [
"123-456-789",
"987-654-321"
]
}
- 객체 : 중괄호 {}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이름 또는 값
- key - value 형태로 구성된다.
- Key : 반드시 문자열이어야 한다.
- 값 : key에 대응하는 값이다. 다양한 데이터 타입이 될 수 있다.
- 배열 : 값을 순서가 있는 리스트 형태로 표현한 것
-
직렬화(Serialization) / 역직렬화(Deserialization)
- GSON 라이브러리를 사용
- 구글에서 만든 ‘자바 객체 직렬화/역직렬화’ 라이브러리
- ‘JSON’ → ‘자바 객체’ : 직렬화
- ‘자바 객체’ → ‘JSON’ : 역직렬화
Model, View, Controller
각각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 Spring MVC
- 서블릿(Servlet) API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모듈